반응형 내가 쓴 시23 [시쓰기]별명을 짓는 저녁 김정환 고양이를 만나는 것은 역시저녁이다 별명을 지어달라고녀석은 그렇게 말했다 뭐가 좋을까, 라고내가 운을 떼니 그건 정답이 아니에요, 라고첫 실연을 당한 이처럼 돌아서 버렸다 아니 아니 왜 토라지는 거니, 라고달래보려 했지만 고양이는 그만깊숙한 골목길이 되어버렸다 저만치에서 가로등과이만치에서 내가 마주하고 빛나는 것은 별명 없는골목과 추억 뿐 오늘도 나는 저녁을 품고별명을 짓는다 2013. 11. 28. [시쓰기]뽀득뽀득 월요일 김정환 바람이 불지 않는 날에도겸손하고,아프지 않은 날에도금욕해야 할텐데 지각한 벚꽃처럼반가운 것이세상에 또 있을까 죄송하지만담배를 피우는 심정으로시를 읽고 베낀다.내 안에 거하다무엇도 남기지 말고 떠나시라고 엄마가 사준 총명탕은 졸음만 옹알대서몽롱하게 울리는 종소리를 들으며나는오늘도 취하셨을 당신을뽀득뽀득 문지른다. 내일은 꼭 산책을 해야지이내 곧 뿌예지지만. 2013. 11. 28. [시쓰기]계란 김정환 처음 보거나, 참으로 오랜만에 보거나혹은 알게 된지 얼마 되지 않은 이들은몽달귀신처럼,앙상한 목 위에커다란 찐 계란을 얹고 다녔다. 그러고 보니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참 쓸데없이 많은 사람들을 알아가는 것이기도 한데또 그것은 참으로 많은 찐 계란들 위에감동과 감정을 그려내는 일이기도 한 것이다. 부활절을 싫어하던 어린이는계란에 무언갈 그리는 데에는여전히 영 서툰 어른이 되었다. 매끈한 계란을 앞에 두고쩔쩔매고 있으면어린이에게는 놀림과 꾸지람이,어른에게는 사회적 불이익과 빠따가비교적 친절하게 수여되었다. 사실은 못 그린다기 보다는많이 망설이는 것이다.한 번 그려버린 이목구비는결코 다시 그릴 수가 없으니까. 감동이고 감정이고억지로 무심한 척 벗겨내서는한 입에 콱깨물어야 하니까. 그리고 그러면곧너무나목.. 2013. 11. 28. [시쓰기]나는 봄비 김정환 따스한 봄날엔 해변으로 가야하는데그냥 술만 마셨어이슬이 되려고 했는데그만 봄비가 됐어유난히 정직한 계절에달콤한 물방울이 되어 세상을 적셔 소리도 없이 나는 기름칠을 해머리하러 가는 버드나무와흐느끼는 아스팔트즐겨찾기해 놓은 버스 타이어에까지 말야 어김없이 돌아온 봄은내 몸과 마음 사이의어디쯤엔가 있어서으스러지도록 껴안아도결코 터뜨릴 수 없는 것이란다 화가 나서 노래를 하지만이미 젖은 봄 위엔아무것도 쓰여지질 않아터벅터벅 황홀한밤길을 걸어꿈으로 갈 뿐이야 그렇게 인주 묻지 않은밤이 지나면결국 시큼함만 남기고나는뚝 껄떡임이 멈추기도 전에땅은 표정을 잃고벚꽃은 이슬마저 털겠지 하루 종일 사랑했으니고지식한 하늘에도작은 떨림 정도는 남을게야요동치는 봄을 덮고나는 이제 눈을 감아 다음 추억에서는누구의 가슴에서.. 2013. 11. 28.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